득성시조 이후 함열공까지계보

이 계보는 득성시조(得姓始祖)부터 득관시조(得官始祖), 입향시조(入鄕始祖)까지의 계보 입니다. 내용의 변동이 없는 부분으로 1960년 발행된 연안차씨세보(김해도서관소장), 1974년 발행된 연안차씨대동보(인제대학교 족보도서관 소장), 모두 변동없는 내용으로, 1990년 발행한 연안차씨 문절공파 함열공 계보에서 원본대로 발췌 게재 하였습니다. 장안동 연안차씨는 득관조 諱 효전(孝全)으로부터 시작하여 18세손 諱 포온(蒲溫, 左丞相 文穆公)으로 이어져 왔으며, 문목공의 네분의 아들을 기점으로 크게 4개의 갈래로 이어져 4派祖라 일컬으며, 그중 三男, 19세 諱 종로( 宗老,月波翁派 派祖, 장안동 월운산 묘소), 20세 諱 원부(原頫, 文節公派 派祖, 장안동 월운산에 묘소) , 21세 諱 안경(安卿, 1972년 장안동 월운산 동쪽 웅송골 안치후 2001년후손등이 울주군 이장), 31세 諱 응훈(應勳, 함열공, 장안동 연실에 묘소, 2009년 이천시 장호원읍 와현리 6번지17 연대산자락에 면례 ) 이어지는 장안동 연안차씨는 문절공파의 후손들 입니다.

유의 : 득성조는 처음 차씨성을 사용한 시조로 車無一 시조님을 말하며, 득관조본관(본향)을 부여받은 선조로 延安을 받으신 車孝全 시조님을 말합니다. 이 계보는 득성시조부터 득관시조, 입향시조까지의 계보 입니다. 한편, 세간 논란이 되는 강열공파(剛烈公派)는 문절공의 조카인 21세 云革(剛烈公)을 派祖로 하는 또다른 갈래 입니다